용감한 꼬마 재단사 동화 줄거리와 교훈 - 작은 재단사가 꾀와 용기로 이룬 큰 성공

잼 빵과 파리 일곱 마리 옛날 어느 마을에 조그만 재단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빵 위에 잼을 발라 맛있게 먹으려는데 파리 일곱 마리가 달려들었습니다. 화가 난 재단사는 한 손에 파리채를 들고 후려쳤습니다. 그런데 단번에 파리 일곱 마리를 잡았지요! 그는 스스로가 대견해서 허리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한 번에 일곱을 해치운 사나이!” 마을 사람들은 이 말만 보고 파리인 줄은 모르고 큰 영웅으로 오해했습니다. 세상을 향해 떠난 재단사 작은 마을에 만족하지 못한 재단사는 ‘내 능력을 세상에 알려야겠다!’ 생각하고 허리띠를 두르고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길에서 그는 거인 두 명을 만나게 됩니다. 거인들은 재단사를 얕잡아보고 힘을 자랑했지만, 재단사는 꾀를 부렸습니다. 거인이 돌을 꽉 쥐어 즙을 짜는 걸 본 재단사는 자신은 더 대단하다며 주머니 속에 넣은 치즈를 짜서 물을 흘려보였습니다. 거인들은 재단사가 돌에서 물을 짠 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왕국에 도착한 꼬마 재단사 재단사는 여행 끝에 한 왕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 왕은 재단사의 허리띠를 보고 그가 엄청난 전사라고 믿었습니다. 왕은 재단사가 무섭고 마음에 들지 않아 그를 위험한 일로 내몰았습니다. “우리 왕국을 괴롭히는 두 거인을 물리친다면 딸과 결혼시켜주겠다.” 재단사는 거인들이 자는 동안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해 물리쳤습니다. 왕국의 사자를 물리치다 이번엔 왕이 더 큰 시련을 내립니다. 마을에 사는 무서운 유니콘과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재단사는 유니콘을 나무에 유인해 뿔을 박히게 하고, 멧돼지는 재빠르게 덫을 놓아 잡았습니다. 결국 왕은 약속대로 재단사를 공주와 결혼시켰고, 재단사는 작은 재단사에서 용감한 왕으로 거듭났습니다. 동화 속 교훈 – 꾀와 용기로 운명을 바꾼다 『용감한 꼬마 재단사』는 작은 힘밖에 없던 한 재단사가 꾀와 용기만으로 큰 시련을 이겨낸 이야기 입니다. 첫째 ,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꾀를 내면 위기를...

지혜로 위기를 벗어난 한국 전래동화 꾀 많은 토끼

 한국 전래동화에는 작지만 지혜로운 동물이 종종 등장합니다. 그중에서도 ‘꾀 많은 토끼 이야기’는 약자가 머리를 써서 강자를 이기는 대표적인 이야기로, 어린이들에게 슬기와 용기를 알려주는 교훈적인 이야기입니다. 특히 이 전래동화는 토끼와 호랑이, 지혜로운 생존, 슬기로운 대처법 같은 주제를 담고 있어 지금도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인기 동화 중 하나입니다.


산속을 뛰놀던 꾀 많은 토끼

옛날 옛적, 깊은 산속에 꾀 많고 총명한 토끼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 토끼는 다른 동물들보다 덩치는 작고 힘도 약했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하며 살아가는 동물이었지요.

어느 날, 토끼가 평소처럼 산속을 신나게 뛰놀고 있었는데, 갑자기 수풀 속에서 커다란 호랑이가 튀어나왔습니다. 눈앞에 나타난 호랑이는 굶주린 눈빛으로 토끼를 노려보며 말했습니다.

“이놈 토끼야! 오늘은 네가 내 저녁밥이다!”

토끼는 깜짝 놀랐지만,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꾀를 냈습니다.


토끼와 호랑이, 첫 번째 속임수

“호랑이님, 잠깐만요! 저 같은 토끼보다 훨씬 맛있는 음식이 있는 곳을 알려드릴게요. 그 음식을 드시면, 저 같은 건 아예 생각도 안 나실 거예요!”

호랑이는 솔깃해졌습니다.

“어디냐? 말만 잘하면 오늘은 봐주마.”

토끼는 슬쩍 미소 지으며 말했습니다.

“산 너머 마을에는 매일 밤, 사람들이 산신령께 바치는 정성스러운 제물 음식이 놓여 있습니다. 고기, 떡, 과일까지 푸짐하게 차려져 있지요. 그 음식은 아무도 건드리지 않아요. 진짜 귀한 음식이지요.”

호랑이는 그 말만 믿고 토끼를 풀어주고, 산 너머 마을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어땠을까요?

마을에 도착한 호랑이는 산신령을 흉내 내며 음식을 훔치려다 마을 사람들에게 들켜, 된통 몽둥이찜질을 당하고 도망치고 말았습니다.


꾀 많은 토끼의 두 번째 지혜

며칠 뒤, 온몸에 멍이 든 호랑이는 다시 토끼를 찾아와 으르렁댔습니다.

“이 토끼야! 감히 날 속이다니! 가만두지 않겠다!”

그러자 토끼는 또 다른 꾀를 냈습니다.

“그건 호랑이님이 진짜 산신령처럼 보이지 않아서 그래요. 도포를 입고 갓을 쓰고 가셨다면 마을 사람들도 산신령인 줄 알고 음식만 바쳤을 텐데요.”

호랑이는 또 속아 도포와 갓까지 구해 쓰고 마을에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그 모습은 더滑稽해서 마을 아이들의 웃음거리가 되었고, 마을 어르신들까지 나서서 호랑이를 몰아냈습니다.

그 뒤로도 토끼는 여러 위기 속에서 꾀를 발휘하며 살아남았고, 숲속 동물들은 그 지혜를 칭찬하며 토끼를 더욱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이야기에서 주는 교훈: 약자라도 꾀와 지혜가 있다면 살아남을 수 있다

이 한국 전래동화 <꾀 많은 토끼 이야기>는 몸은 작아도 머리는 누구보다 빠른 토끼를 통해 지혜의 중요성을 알려줍니다. 단순한 꾀가 아닌, 상대를 다치게 하지 않으면서도 위기를 슬기롭게 빠져나가는 태도는 오늘날에도 아이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삶의 지혜입니다.

특히 이 동화는 힘이 약한 존재가 상황을 판단하고, 말의 힘과 임기응변으로 스스로를 지켜나간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습니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만약 너라면 어떻게 했을까?” 같은 질문을 나누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심청전 줄거리와 교훈 – 인당수 전설과 효녀 심청의 희생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줄거리와 교훈|아이에게 들려줄 전래동화 이야기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