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꼬마 재단사 동화 줄거리와 교훈 - 작은 재단사가 꾀와 용기로 이룬 큰 성공

잼 빵과 파리 일곱 마리 옛날 어느 마을에 조그만 재단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빵 위에 잼을 발라 맛있게 먹으려는데 파리 일곱 마리가 달려들었습니다. 화가 난 재단사는 한 손에 파리채를 들고 후려쳤습니다. 그런데 단번에 파리 일곱 마리를 잡았지요! 그는 스스로가 대견해서 허리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한 번에 일곱을 해치운 사나이!” 마을 사람들은 이 말만 보고 파리인 줄은 모르고 큰 영웅으로 오해했습니다. 세상을 향해 떠난 재단사 작은 마을에 만족하지 못한 재단사는 ‘내 능력을 세상에 알려야겠다!’ 생각하고 허리띠를 두르고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길에서 그는 거인 두 명을 만나게 됩니다. 거인들은 재단사를 얕잡아보고 힘을 자랑했지만, 재단사는 꾀를 부렸습니다. 거인이 돌을 꽉 쥐어 즙을 짜는 걸 본 재단사는 자신은 더 대단하다며 주머니 속에 넣은 치즈를 짜서 물을 흘려보였습니다. 거인들은 재단사가 돌에서 물을 짠 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왕국에 도착한 꼬마 재단사 재단사는 여행 끝에 한 왕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 왕은 재단사의 허리띠를 보고 그가 엄청난 전사라고 믿었습니다. 왕은 재단사가 무섭고 마음에 들지 않아 그를 위험한 일로 내몰았습니다. “우리 왕국을 괴롭히는 두 거인을 물리친다면 딸과 결혼시켜주겠다.” 재단사는 거인들이 자는 동안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해 물리쳤습니다. 왕국의 사자를 물리치다 이번엔 왕이 더 큰 시련을 내립니다. 마을에 사는 무서운 유니콘과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재단사는 유니콘을 나무에 유인해 뿔을 박히게 하고, 멧돼지는 재빠르게 덫을 놓아 잡았습니다. 결국 왕은 약속대로 재단사를 공주와 결혼시켰고, 재단사는 작은 재단사에서 용감한 왕으로 거듭났습니다. 동화 속 교훈 – 꾀와 용기로 운명을 바꾼다 『용감한 꼬마 재단사』는 작은 힘밖에 없던 한 재단사가 꾀와 용기만으로 큰 시련을 이겨낸 이야기 입니다. 첫째 ,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꾀를 내면 위기를...

이솝우화 여우와 신 포도 줄거리와 교훈

포도를 보고 군침을 삼킨 여우

옛날 옛적 한 숲속에 영리하지만 제 고집이 센 여우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뜨거운 해가 머리 위에서 내리쬐는 한낮, 여우는 지친 발걸음으로 길을 걷고 있었지요.

“크으~ 덥고 목마르고, 먹을 것도 하나 없네...”

그때, 어디선가 달콤한 향기가 코끝을 스쳤습니다. 여우는 코를 킁킁거리며 냄새를 따라가 봤지요. 그러자 한 덩굴 위로 탐스럽고 싱그러운 보랏빛 포도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것이 아니겠어요?

“오호라, 이런 귀한 포도가 이 깊은 숲속에 있다니! 이걸 따먹는 건 바로 이 여우님밖에 없지.”

여우는 꿀꺽 침을 삼키며 포도를 향해 성큼 다가갔습니다.


아무리 점프해도 닿지 않는 포도

하지만 문제는 하나 있었습니다. 포도가 너무 높이 매달려 있었던 것이지요. 여우는 힘껏 뛰어올랐습니다.

“하나, 둘, 셋!”

펄쩍 뛰었지만 꼬리 끝조차 닿지 않았습니다. 다시 멀찍이 물러나 도약했습니다. 점프하고 또 점프했지만, 포도는 여전히 여우의 입에서 한참 멀었습니다.

숨이 턱까지 차고, 발은 흙투성이가 되었습니다. 몇 번을 시도해도 포도는 마치 여우를 놀리듯 아른거리기만 했습니다.


여우의 말 한마디, 그리고 뒷걸음

결국 지친 여우는 땅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혀를 내밀었습니다. 그러고는 벌떡 일어나 이렇게 말했습니다.

“흥! 어차피 저 포도는 덜 익어서 엄청 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신 포도 따위는 먹지 않아도 돼!”

그리곤 흥흥 콧방귀를 뀌며 다른 길로 뒷걸음쳐 걸어갔습니다. 포도는 여전히 햇빛을 받아 반짝이며 여우의 뒷모습을 바라보고 있었지요.


이야기 속 교훈: 닿지 않는 것에 대한 변명

여우가 포도를 따먹지 못하고 되레 “저건 시어서 맛이 없을 거야”라고 말하며 돌아선 장면은 단순한 허세가 아닙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 내면 속에서 자주 일어나는 자기 합리화의 심리를 보여줍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손에 넣지 못했을 때 실망과 상처를 받습니다. 그때 우리는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이렇게 말하곤 하죠.

  • “그 일자리는 원래 나랑 안 맞았어.”

  • “그 사람은 내가 싫어졌던 거야. 내가 부족했던 게 아니야.”

  • “이 시험은 원래 어려운 거였고, 의미도 없어.”

  • “저 집은 너무 시끄러워서 안 사는 게 나았지.”

이렇게 자신이 하지 못한 일이나 실패한 결과를 ‘별거 아니었다’고 깎아내리며 스스로를 위로합니다. 여우처럼 말이에요.

하지만 그런 생각이 반복되다 보면 진짜 성장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포도를 따지 못한 것이 아쉬운 게 아니라, 그 포도를 따기 위해 한 번 더 도전할 기회를 스스로 포기한 것이 더 큰 손해일 수 있습니다.

여우가 정말 포도를 원했다면, 나무를 타거나 막대를 구하거나 다음 날 다시 시도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여우는 포도보다 체면을 더 중시했고, 결국 진짜 원하는 것을 스스로 포기하고 말았지요.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진짜 원하는 것이 있다면, 닿지 않는다고 해서 그 가치를 낮추지 말자.

  • 노력해서 얻지 못했더라도, 그 실패를 통해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

  • 자존심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솔직한 인정이 더 큰 성장을 이끈다.

여우와 포도 이야기는 짧지만, 평생 마음속에 새겨야 할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말 한마디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가 더 값진 것임을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심청전 줄거리와 교훈 – 인당수 전설과 효녀 심청의 희생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줄거리와 교훈|아이에게 들려줄 전래동화 이야기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