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꼬마 재단사 동화 줄거리와 교훈 - 작은 재단사가 꾀와 용기로 이룬 큰 성공

잼 빵과 파리 일곱 마리 옛날 어느 마을에 조그만 재단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빵 위에 잼을 발라 맛있게 먹으려는데 파리 일곱 마리가 달려들었습니다. 화가 난 재단사는 한 손에 파리채를 들고 후려쳤습니다. 그런데 단번에 파리 일곱 마리를 잡았지요! 그는 스스로가 대견해서 허리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한 번에 일곱을 해치운 사나이!” 마을 사람들은 이 말만 보고 파리인 줄은 모르고 큰 영웅으로 오해했습니다. 세상을 향해 떠난 재단사 작은 마을에 만족하지 못한 재단사는 ‘내 능력을 세상에 알려야겠다!’ 생각하고 허리띠를 두르고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길에서 그는 거인 두 명을 만나게 됩니다. 거인들은 재단사를 얕잡아보고 힘을 자랑했지만, 재단사는 꾀를 부렸습니다. 거인이 돌을 꽉 쥐어 즙을 짜는 걸 본 재단사는 자신은 더 대단하다며 주머니 속에 넣은 치즈를 짜서 물을 흘려보였습니다. 거인들은 재단사가 돌에서 물을 짠 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왕국에 도착한 꼬마 재단사 재단사는 여행 끝에 한 왕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 왕은 재단사의 허리띠를 보고 그가 엄청난 전사라고 믿었습니다. 왕은 재단사가 무섭고 마음에 들지 않아 그를 위험한 일로 내몰았습니다. “우리 왕국을 괴롭히는 두 거인을 물리친다면 딸과 결혼시켜주겠다.” 재단사는 거인들이 자는 동안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해 물리쳤습니다. 왕국의 사자를 물리치다 이번엔 왕이 더 큰 시련을 내립니다. 마을에 사는 무서운 유니콘과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재단사는 유니콘을 나무에 유인해 뿔을 박히게 하고, 멧돼지는 재빠르게 덫을 놓아 잡았습니다. 결국 왕은 약속대로 재단사를 공주와 결혼시켰고, 재단사는 작은 재단사에서 용감한 왕으로 거듭났습니다. 동화 속 교훈 – 꾀와 용기로 운명을 바꾼다 『용감한 꼬마 재단사』는 작은 힘밖에 없던 한 재단사가 꾀와 용기만으로 큰 시련을 이겨낸 이야기 입니다. 첫째 ,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꾀를 내면 위기를...

부모의 마음을 생각하게 해주는 할미꽃 이야기

세 딸을 정성껏 키운 어머니

옛날 어느 산골 마을에 자식밖에 모르고 살아온 늙은 어머니가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남편을 일찍 여의고 홀몸으로 세 딸을 정성껏 키워 모두 시집을 보냈습니다.

“우리 딸들만 잘 살면, 나는 그걸로 족하다…”

늙고 병든 몸이 되어도 어머니는 항상 딸들 걱정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자 이제는 혼자 살아가기조차 어려워졌습니다. 하루하루가 힘들고 쓸쓸한 나날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머니는 큰딸을 찾아가 보기로 결심했습니다.


기대와 실망의 반복

큰딸의 집에 도착했을 때, 딸은 처음에는 어머니를 반갑게 맞았습니다. 따뜻한 밥도 차려주고, 포근한 이불도 내어주었습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자 딸은 점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습니다.

“어머니, 요즘 바빠서요… 좀 쉬세요.”

어머니는 미안한 마음에 짐을 싸 들고 둘째 딸을 찾아갔습니다. 이번에는 좀 다를까 싶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 며칠 지나자 둘째 딸 역시 냉랭하게 변했습니다.

“애들도 있고, 집이 비좁아서 오래 계시긴 좀 그래요…”

어머니는 마지막 희망을 안고 막내딸을 찾아 나섰습니다.


고개 너머 셋째 딸의 집

막내딸의 집은 고개 너머에 있었습니다. 산길을 힘겹게 넘던 어머니는 고개 위에서 딸의 집을 내려다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딸이 문밖으로 나와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잠시 망설였습니다. “내가 먼저 부르면 민폐 아닐까?” 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딸은 고개 위에 있는 어머니를 알아보지 못하고,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집 안으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그 순간, 어머니의 가슴은 무너져 내렸습니다. 세 딸 모두 자신을 귀찮아하고 외면했다는 사실이 너무도 슬펐습니다.

“딸자식 다 소용없구나…”

그 말을 마지막으로, 어머니는 고개 위에서 굽은 허리를 펴지도 못한 채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허리 굽은 꽃 하나

며칠 후, 마을 사람들은 이상한 광경을 보게 됩니다. 고개 위 어머니가 앉았던 자리에, 처음 보는 꽃 한 송이가 피어 있었던 것입니다.

그 꽃은 허리가 굽은 듯 고개를 숙이고 있었고, 꽃잎은 마치 슬픔에 젖은 눈물 같았습니다.

“어머니의 넋이 저 꽃에 깃든 게 아닐까…”

사람들은 그 꽃을 ‘할미꽃’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배우는 교훈

이 이야기는 부모님의 사랑이 얼마나 깊고도 절절한지를 전해줍니다.
자식들을 위해 모든 것을 내어주며 살아온 어머니가, 끝내 자식들에게 외면당한 채 고개 너머에서 딸을 바라보다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는 듣는 이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듭니다.

부모님이 바라는 건 결코 크고 대단한 효도가 아닙니다.
그저 한 번 더 생각해주고, 찾아와 주고, 안부를 물어주는 따뜻한 마음이면 충분합니다.
작고 소박한 관심이 부모님께는 무엇보다 큰 위로이자 사랑이 됩니다.

이 이야기는 아이에게 들려주는 동화지만, 오히려 어른인 저 자신을 돌아보게 했습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괜찮을 거라는 생각에 무심히 지나쳤던 부모님의 마음을 다시금 떠올리게 합니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눈시울이 붉어지는 건 어쩌면 아이보다 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심청전 줄거리와 교훈 – 인당수 전설과 효녀 심청의 희생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줄거리와 교훈|아이에게 들려줄 전래동화 이야기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