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꼬마 재단사 동화 줄거리와 교훈 - 작은 재단사가 꾀와 용기로 이룬 큰 성공

잼 빵과 파리 일곱 마리 옛날 어느 마을에 조그만 재단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빵 위에 잼을 발라 맛있게 먹으려는데 파리 일곱 마리가 달려들었습니다. 화가 난 재단사는 한 손에 파리채를 들고 후려쳤습니다. 그런데 단번에 파리 일곱 마리를 잡았지요! 그는 스스로가 대견해서 허리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한 번에 일곱을 해치운 사나이!” 마을 사람들은 이 말만 보고 파리인 줄은 모르고 큰 영웅으로 오해했습니다. 세상을 향해 떠난 재단사 작은 마을에 만족하지 못한 재단사는 ‘내 능력을 세상에 알려야겠다!’ 생각하고 허리띠를 두르고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길에서 그는 거인 두 명을 만나게 됩니다. 거인들은 재단사를 얕잡아보고 힘을 자랑했지만, 재단사는 꾀를 부렸습니다. 거인이 돌을 꽉 쥐어 즙을 짜는 걸 본 재단사는 자신은 더 대단하다며 주머니 속에 넣은 치즈를 짜서 물을 흘려보였습니다. 거인들은 재단사가 돌에서 물을 짠 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왕국에 도착한 꼬마 재단사 재단사는 여행 끝에 한 왕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 왕은 재단사의 허리띠를 보고 그가 엄청난 전사라고 믿었습니다. 왕은 재단사가 무섭고 마음에 들지 않아 그를 위험한 일로 내몰았습니다. “우리 왕국을 괴롭히는 두 거인을 물리친다면 딸과 결혼시켜주겠다.” 재단사는 거인들이 자는 동안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해 물리쳤습니다. 왕국의 사자를 물리치다 이번엔 왕이 더 큰 시련을 내립니다. 마을에 사는 무서운 유니콘과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재단사는 유니콘을 나무에 유인해 뿔을 박히게 하고, 멧돼지는 재빠르게 덫을 놓아 잡았습니다. 결국 왕은 약속대로 재단사를 공주와 결혼시켰고, 재단사는 작은 재단사에서 용감한 왕으로 거듭났습니다. 동화 속 교훈 – 꾀와 용기로 운명을 바꾼다 『용감한 꼬마 재단사』는 작은 힘밖에 없던 한 재단사가 꾀와 용기만으로 큰 시련을 이겨낸 이야기 입니다. 첫째 ,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꾀를 내면 위기를...

며느리의 따뜻한 마음이 돌이 된 전래동화 장자못 설화 줄거리

인색한 장자와 시주를 청한 스님

옛날 옛적, 전라북도 어느 마을에 부유하지만 인색하기로 소문난 장자가 살고 있었습니다. 넉넉한 곡식과 재산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웃에게는 나누는 법이 없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장자의 집 앞을 지나가며 수군거렸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스님이 시주를 청하며 장자의 집을 찾아왔습니다. 스님은 조용히 말했습니다.

“수행 중입니다. 자비로이 시주를 부탁드립니다.”

하지만 장자는 얼굴을 찌푸리며 말했지요.

“시주? 이런 쇠똥이나 받아가시오.”
그는 바가지에 쇠똥을 가득 담아 내밀었습니다.

스님은 말없이 그것을 받아 들고 떠났지만, 그 모습을 지켜보던 장자의 며느리는 마음이 무겁고 아팠습니다. 그녀는 시아버지의 인색함이 부끄러웠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외면하는 집안의 모습이 참담했습니다.


며느리의 선행과 스님의 당부

며느리는 몰래 부엌으로 가 깨끗한 쌀을 바가지에 담아 스님의 뒤를 따라갔습니다. 그녀는 스님 앞에 바가지를 내밀며 말했습니다.

“시아버지 대신 제 정성을 받아주십시오.”

스님은 조용히 그녀를 바라보다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그대는 맑은 마음을 지닌 사람이오. 지금 가장 소중한 것 하나만 챙겨 나를 따르시오. 하지만 어떤 일이 있어도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마시오.”

며느리는 고민 끝에 아기를 품에 안고, 기르던 개를 데리고 스님의 뒤를 따라 길을 나섰습니다. 조용히 걷는 그 발걸음에는 자신이 옳은 길을 택했다는 믿음이 담겨 있었습니다.


무너지는 집, 멈춰버린 시간

멀리서 갑자기 땅이 울리는 듯한 소리와 함께 “우르르 쾅쾅!” 하는 굉음이 들려왔습니다. 마을 쪽에서 들리는 비명과 흔들림, 두려운 소리에 며느리는 두 눈을 질끈 감았습니다.

그러나 너무나도 큰 소리에 놀란 며느리는 결국 본능적으로 뒤를 돌아보고 말았습니다.
그 순간, 며느리는 그대로 굳어버렸고, 그녀의 품에 안긴 아기와 뒤따르던 개도 함께 돌로 변해버렸습니다.

그녀가 살던 집은 무너지고, 그 자리에 커다란 못이 생겨났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그 못을 ‘장자못’이라 불렀고, 돌이 된 여인을 ‘며느리바위’, 아이 돌과 개 바위까지 함께 전설로 남게 되었습니다.


전설이 전하는 마음: 진심은 돌이 되어도 남는다

이 이야기는 단지 벌을 받았다는 슬픈 이야기가 아닙니다.
많이 가진 장자는 끝내 아무것도 남기지 못했고, 마음이 따뜻했던 며느리는 세월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전설이 되어 남았습니다.

그녀는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말을 어겼지만, 그것은 잘못이라기보다 두려움과 사랑 때문이었습니다. 아이를 안고 위험한 소리에 반응한 건, 너무도 인간적인 일이었지요.

이 설화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재산보다 더 소중한 것은 따뜻한 마음이고, 작은 친절은 시간 속에서도 지워지지 않습니다.”
“누군가를 위하는 마음은 돌처럼 단단히 남아, 사람들의 가슴속에 길이 전해집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심청전 줄거리와 교훈 – 인당수 전설과 효녀 심청의 희생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줄거리와 교훈|아이에게 들려줄 전래동화 이야기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