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동화 구렁덩이 선비의 줄거리와 교훈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자식을 바란 부부에게 내려진 뜻밖의 선물
옛날 옛적, 아이가 없어 깊은 한숨만 내쉬던 한 노부부가 있었어요. 날마다 하늘을 향해 기도하던 어느 날, 마침내 아내가 아이를 낳게 되었지요. 하지만 그 아이는 사람이 아니라 커다란 구렁이였어요. 놀라고 두려운 마음이 앞섰지만, 오랜 기다림 끝에 얻은 자식이기에 두 사람은 마음을 다해 그 구렁이를 정성껏 키웠답니다.
세월이 흘러 구렁이는 지혜롭고 정 많은 존재로 자라났고, 사람처럼 말도 하며 부모에게 효도했지요.
유일하게 마음을 열어준 셋째 딸
어느 날 이웃 마을 양반댁의 세 딸이 구렁이를 구경하러 왔습니다. 첫째와 둘째는 그 모습에 놀라 뒷걸음질쳤지만, 셋째 딸만은 구렁이에게 따뜻한 눈길을 보냈어요. 그 순간부터 구렁이의 마음엔 셋째 딸이 깊이 자리 잡았답니다.
세월이 더 흐르고, 장성한 구렁이는 어머니에게 말했어요.
“저는 양반댁 셋째 아씨와 혼인하고 싶습니다.”
첫째, 둘째 딸은 구렁이와 혼인한다는 말에 펄쩍 뛰며 거절했지만, 셋째 딸은 구렁이의 따뜻한 마음을 기억하며 담담히 혼인을 받아들였어요. 그렇게 두 사람은 혼례를 치르게 되었답니다.
허물을 벗고 드러난 참모습
결혼 첫날 밤, 구렁이는 아내 앞에서 구렁이 껍질을 벗고 잘생긴 선비의 모습으로 변했습니다. 낮에는 구렁이로, 밤에는 사람으로 지내던 신랑은 시간이 지나며 완전히 사람의 모습으로 살아가게 되었지요.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아내에게 자신이 벗은 허물을 건네며 말했어요.
“이 허물은 절대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말고, 잃어버려서도 안 됩니다. 저는 과거를 보러 다녀오겠습니다.”
아내는 그 말을 지키려 허물을 궤짝 안에 넣고 단단히 보관했어요. 하지만 시기심에 휩싸인 언니들은 그만 궤짝을 열고 허물을 꺼내 불태워 버렸답니다.
그 냄새를 맡은 신랑은 아내가 약속을 어긴 줄 알고, 말없이 집을 떠나버렸어요.
신랑을 찾아 떠나는 아내의 여정
갑작스런 남편의 실종에 슬퍼하던 아내는 남편을 찾아 길을 떠났습니다. 밭을 가는 농부, 빨래하는 여인, 그리고 까치에게까지 길을 묻고 묻다가 마침내 지하세계로 향하게 되었어요. 그곳에서 남편을 찾았지만, 그는 이미 새 아내와 혼인한 상태였답니다.
그러나 아내는 포기하지 않았어요. 노래를 부르며 남편의 마음을 다시 흔들었고, 구렁이 신랑은 그녀를 알아보았어요.
진짜 아내를 찾기 위해 신랑은 두 여인에게 물 길어오기, 호랑이 눈썹 가져오기 같은 시험을 내었고, 모든 내기에서 첫 번째 아내가 이기게 되었지요.
그리하여 두 사람은 다시 재회하게 되었고, 진심과 인내가 결국 사랑을 되찾게 한 이야기로 끝맺게 되었습니다.
겉모습이 아닌 마음을 보는 눈, 약속을 지키는 마음을 알려준 교훈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진심은 반드시 통한다 – 처음부터 구렁이를 따뜻하게 받아준 셋째 딸의 진심은 기적을 불렀습니다.
-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말라 – 구렁이는 선비로 다시 태어나며, 사람됨은 외형보다 마음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약속은 신뢰의 뿌리 – 허물을 지키지 못해 벌어진 오해는 결국 두 사람의 관계를 멀어지게 만들었습니다.
-
여성 서사의 시련과 극복 – 아내가 남편을 찾아 나서는 여정은 한국 전래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수난과 회복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