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 벌거벗은 임금님, 허영심이 부른 웃음과 교훈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옷을 사랑한 임금님
옛날 어느 나라에 옷을 아주 좋아하는 임금님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임금님은 나라를 잘 다스리기보다는, 자신의 외모와 옷차림을 꾸미는 일에만 관심이 많았지요. 하루에도 몇 번씩 옷을 갈아입었고, 백성들은 임금님의 화려한 옷자랑을 보는 데 익숙해졌습니다.
그런 임금님의 성향을 알게 된 두 사기꾼이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스스로를 ‘세계 최고의 옷감 장인’이라고 소개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희가 짜는 옷감은 어리석은 자나 직무에 부적합한 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마법의 옷입니다!”
임금님은 이 말에 큰 관심을 보였고, 그렇게 두 사람은 궁궐 안에서 거짓 작업을 시작합니다. 실제로는 아무것도 짜지 않았지만, 임금님은 자신이 어리석어 보일까 두려워 그들이 짜고 있다는 허공의 옷감을 보며 "정말 아름답구나!"라고 감탄했습니다.
아무도 진실을 말하지 못했어요
임금님은 신하들을 보내 옷의 진위를 확인하게 했습니다. 하지만 신하들 역시 ‘보이지 않으면 내가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이겠지’ 하는 생각에, 아무것도 없는 옷감을 보고도 “정말 훌륭한 옷입니다!”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결국 사기꾼들은 "옷이 완성되었습니다"라며 허공의 옷을 내밀었고, 임금님은 알몸으로 그것을 입는 척하며 도성 행진을 나섭니다. 왕은 당당히 걸었고, 백성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박수를 쳤습니다. 그 누구도 임금님의 실체를 지적하지 못했지요.
그때, 한 어린아이가 말했습니다.
“엄마, 임금님이 아무것도 안 입었어요!”
그 말은 점점 사람들 사이로 퍼졌고, 모두가 웃음을 터뜨렸습니다. 임금님은 그제야 자신의 모습이 벌거벗었다는 걸 깨달았지만, 부끄러움을 감추기 위해 더욱 위엄 있게 행진을 계속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야기 속 교훈: 진실을 말하는 용기
‘벌거벗은 임금님’ 이야기는 단순한 웃음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 이야기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진실을 말한 어린아이”입니다. 어른들은 체면과 지위 때문에 거짓말에 동조했지만, 아이는 솔직하게 사실을 말했습니다.
이는 사회 속에서 진실을 외치는 일이 얼마나 어렵고, 동시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눈앞의 거짓에 맞서 진실을 말할 수 있나요?”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바른 소리를 할 수 있나요?”
어른들에게는 자기검열을 돌아보게 하고, 아이들에게는 정직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귀한 교훈입니다.
시대를 넘어 전해지는 풍자 이야기
이 이야기는 덴마크의 동화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쓴 동화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권위에 대한 풍자, 군중 심리, 허영심에 대한 비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특히 한국의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처럼, 권력자 주위의 침묵과 허위를 비판하는 이야기는 세계 여러 설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런 이야기들은 사회를 바르게 이끌기 위해서는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용기 있는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