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꼬마 재단사 동화 줄거리와 교훈 - 작은 재단사가 꾀와 용기로 이룬 큰 성공

잼 빵과 파리 일곱 마리 옛날 어느 마을에 조그만 재단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빵 위에 잼을 발라 맛있게 먹으려는데 파리 일곱 마리가 달려들었습니다. 화가 난 재단사는 한 손에 파리채를 들고 후려쳤습니다. 그런데 단번에 파리 일곱 마리를 잡았지요! 그는 스스로가 대견해서 허리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한 번에 일곱을 해치운 사나이!” 마을 사람들은 이 말만 보고 파리인 줄은 모르고 큰 영웅으로 오해했습니다. 세상을 향해 떠난 재단사 작은 마을에 만족하지 못한 재단사는 ‘내 능력을 세상에 알려야겠다!’ 생각하고 허리띠를 두르고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길에서 그는 거인 두 명을 만나게 됩니다. 거인들은 재단사를 얕잡아보고 힘을 자랑했지만, 재단사는 꾀를 부렸습니다. 거인이 돌을 꽉 쥐어 즙을 짜는 걸 본 재단사는 자신은 더 대단하다며 주머니 속에 넣은 치즈를 짜서 물을 흘려보였습니다. 거인들은 재단사가 돌에서 물을 짠 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왕국에 도착한 꼬마 재단사 재단사는 여행 끝에 한 왕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 왕은 재단사의 허리띠를 보고 그가 엄청난 전사라고 믿었습니다. 왕은 재단사가 무섭고 마음에 들지 않아 그를 위험한 일로 내몰았습니다. “우리 왕국을 괴롭히는 두 거인을 물리친다면 딸과 결혼시켜주겠다.” 재단사는 거인들이 자는 동안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해 물리쳤습니다. 왕국의 사자를 물리치다 이번엔 왕이 더 큰 시련을 내립니다. 마을에 사는 무서운 유니콘과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재단사는 유니콘을 나무에 유인해 뿔을 박히게 하고, 멧돼지는 재빠르게 덫을 놓아 잡았습니다. 결국 왕은 약속대로 재단사를 공주와 결혼시켰고, 재단사는 작은 재단사에서 용감한 왕으로 거듭났습니다. 동화 속 교훈 – 꾀와 용기로 운명을 바꾼다 『용감한 꼬마 재단사』는 작은 힘밖에 없던 한 재단사가 꾀와 용기만으로 큰 시련을 이겨낸 이야기 입니다. 첫째 ,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꾀를 내면 위기를...

아기를 지켜주는 수호신 삼신할미 이야기와 의미

삼신할미는 무엇인가요?

옛날 옛날에, 하늘과 땅이 처음 나뉘고, 해와 달이 서로 자리를 잡았을 무렵, 인간 세상에는 아직 생명과 죽음의 이치가 제대로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아이는 태어났다가도 곧 병들어 죽고, 산모는 출산 중에 세상을 떠나는 일이 많았습니다.

사람들은 하늘을 향해 울부짖었습니다.

“하늘이시여, 우리 아이들을 지켜주세요! 우리 아내들을 살려주세요!”

그 간절한 소원이 하늘에 닿았을까요? 하늘의 신들 중에서도 특히 자애롭기로 소문난 한 여신이 인간 세상에 내려왔습니다. 그녀는 수많은 아기를 돌보고, 산모의 곁을 지키며 아이가 무사히 태어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그 여신이 바로 삼신할미입니다.


아기를 점지하고 목숨을 지키는 신

삼신할미는 아기를 점지해 주는 신, 곧 ‘태아의 씨앗을 정해주는 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아이가 언제, 누구의 품에 태어날지 정하고, 그 생명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지켜봅닏.

아이가 태어날 즈음이 되면, 삼신할미는 그 집에 내려와 산모의 고통을 덜어주고 아이가 숨을 잘 쉬며 세상에 나올 수 있도록 손을 뻗습니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아기가 태어날 무렵이 되면 집안에 삼신상을 차려놓고 삼신할미께 정성껏 기도했습니다. 삶은 쌀밥과 미역국, 삶은 계란을 올려 삼신할미께 “우리 아이를 건강하게 해주소서” 하고 기원했지요.


삼신할미를 모시는 날

옛 어른들은 아기가 태어난 뒤에도 일정 기간 동안 삼신할미께 감사를 잊지 않았습니다. 보통 아기가 3일째, 7일째, 21일째, 100일째, 첫돌이 될 때마다 특별한 상을 차려 삼신할미를 모셨습니다.

그날은 단순한 제사가 아니라, 아이의 생명을 이어주신 삼신할미께 감사하고, 앞으로의 건강을 기원하는 날이었지요.

삼신상에 올리는 음식도 특별했습니다. 고기를 피하고, 조심스럽게 삶은 음식만을 올렸습니다. 생명을 다루는 신이기에 정결함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입니다.


삼신할미의 의미

삼신할미는 단지 신화 속의 인물이 아닙니다. 그녀는 아이의 탄생과 생명을 소중히 여겼던 조상들의 간절한 염원이 깃든 상징입니다.
어머니가 겪는 고통, 아이의 무사한 출생을 위한 기도, 그리고 건강한 성장을 향한 바람이 삼신할미라는 형상에 담겨 전해져 온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아기의 백일이나 돌잔치에 삼신상을 차리는 풍습이 남아 있는 것도, 생명과 탄생을 둘러싼 전통적 가치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심청전 줄거리와 교훈 – 인당수 전설과 효녀 심청의 희생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줄거리와 교훈|아이에게 들려줄 전래동화 이야기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