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 갚은 두꺼비와 지네장터의 전설

지네가 사람을 잡아가는 무서운 마을 옛날 옛적, 어느 깊은 산골 마을에 무서운 풍습이 있었습니다. 해마다 한 번씩, 마을 사람들은 젊은 처녀를 무서운 괴물 '지네'에게 제물로 바쳐야만 평안한 한 해를 보낼 수 있다고 믿었지요. 사람들은 이 풍습을 어쩔 수 없는 운명처럼 받아들이며 두려움에 떨었고, 해마다 제물로 바쳐질 사람이 정해질 때마다 눈물을 삼켜야 했습니다. 두꺼비를 먹여 살린 가난한 소녀 이 마을에는 아주 가난하지만 마음이 따뜻한 소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소녀는 하루하루 겨우 끼니를 이어가며 살아가고 있었지만, 어느 날 부엌 한구석에서 떨고 있는 작은 두꺼비 한 마리를 발견합니다. “배가 고팠구나… 이것이라도 먹어.” 소녀는 자신도 배고팠지만, 주저 없이 남은 밥풀을 두꺼비에게 나누어 주었고, 그날 이후 두꺼비는 매일 부엌에 찾아와 소녀가 주는 음식을 먹으며 무럭무럭 자라났습니다. 그 모습이 마치 자식처럼 다정하고 익숙해졌지요. 제물로 바쳐질 소녀와 작별 인사 해마다 돌아오는 그 무서운 날. 올해의 제물로 바로 그 소녀가 지목되었습니다. 소녀는 겁이 났지만, 마을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조용히 받아들이기로 마음먹습니다. 지네가 산다는 무덤 같은 굴 앞에서 두꺼비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넸습니다. “그동안 고마웠어… 잘 지내.” 소녀는 눈물을 머금고 깊은 굴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불꽃 속의 목숨 건 싸움 깊은 밤. 굴 안은 어둠과 정적만이 가득했습니다. 그런데 어디선가 커다란 붉은 눈을 가진 지네가 나타나 불꽃을 내뿜으며 소녀를 향해 다가왔습니다. 바로 그때, 두꺼비가 나타났습니다! 두꺼비의 입에서도 푸른 불꽃이 쏟아져 나오며 지네와 마주했습니다. 붉은 불과 푸른 불이 엉켜 굴 안은 전쟁터처럼 뜨겁고 무서워졌고, 소녀는 그 자리에 쓰러져 기절하고 말았습니다. 아침의 기적과 두꺼비의 희생 이튿날 아침, 마을 사람들은 조심스레 굴을 찾아갔습니다. 그곳에는 놀라운 광경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지네는 죽어 있었고, 그 옆...

설화 구렁이의 보은 - 작은 밥 한 숟가락이 지켜준 목숨 이야기

서당길에서 시작된 인연

옛날 옛적에 공부하러 서당에 다니는 착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하루는 서당 가는 길에 굶주린 구렁이를 발견했지요.
가엾은 마음에 싸 온 밥을 한 숟가락 떼어 나눠주었습니다.
그날 이후 아이는 매일같이 구렁이에게 밥을 주었고, 구렁이는 점점 건강하고 힘센 큰 뱀이 되어갔습니다.


장가가는 날의 약속

세월이 흘러 아이는 늠름한 총각으로 자랐습니다.
혼례날이 다가오자 총각은 구렁이에게 말했지요.
“이제는 결혼식이 있으니 잔칫날엔 나오지 말아라.”
구렁이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이며 숲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첫날밤 찾아온 위기

그런데 혼례날, 사람들 눈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구렁이는 총각을 따라 신부 집까지 함께 갔습니다.
첫날밤이 되어 방 안이 고요해질 무렵, 총각은 뭔가 이상한 기척을 느꼈습니다.
조심스레 벽장 문을 열어보니, 그 안에는 칼을 든 간부가 숨어 총각을 해치려 하고 있었습니다.
그 순간 구렁이가 번개같이 달려들어 도둑을 물어 쓰러뜨려 버렸습니다.


구렁이 덕분에 새 삶을 얻다

구렁이 덕분에 목숨을 구한 총각은 후에 다시 혼례를 올려 새장가를 들어 평생 무사히 잘 살았다고 합니다.
언제나 구렁이의 은혜를 마음에 간직하며, 작은 선행도 잊지 않고 살아갔다고 전해집니다.


이야기 속 교훈

  • 작은 친절이 큰 은혜로 돌아온다.
    싸 준 밥 한 숟가락이 목숨을 살리는 은혜로 되돌아왔습니다.

  • 생명은 모두 소중하다.
    작은 동물이라도 정성을 다하면 언젠가 반드시 보답받게 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 은혜를 기억하는 마음.
    구렁이처럼 받은 은혜를 잊지 않는 마음이 진정한 의리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선녀와 나무꾼 전래동화 – 줄거리와 결말, 그리고 오늘날의 의미

전래동화 은혜갚은 까치의 줄거리와 교훈

실화 바탕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 줄거리와 교훈 – 형제애와 효심이 담긴 감동 이야기